Search

<아티스트 인사이드 pre-4기> 모집

대표이미지
_아티스트-인사이드_2기-001.jpg
게시일
2025/05/10 → 2025/06/30
주관사
아이디어스코프
참여기관
협력기관
교육기관
종류
신규프로젝트
다큐멘터리사진
해외프로젝트
첨부파일

<아티스트 인사이드 pre-4기> 안내

  바로가기 01. <아티스트 인사이드> 한줄 소개?! 02. <아티스트 인사이드 1기~3기> 업데이트 03. <아티스트 인사이드 pre-4기> 과정 안내 04. <아티스트 인사이드> 상세안내 05. 제작 프로세스 06. 다큐 사진 및 영상 참조 싸이트 07. 신청안내 08. 신청 전 주의 사항

 <아티스트 인사이드> 한줄 소개?!

 “진정한 당신의 이야기를 브랜딩합니다.”

<아티스트 인사이드>는 예술가의 ‘정체성’과 ‘작품’을 바탕으로, 다큐멘터리 스타일의 사진과 약 3~5분 분량의 ‘다큐 영상’을 제작합니다.
진행 과정 : 사전 기획 1회 + 다큐 촬영 4회 (필요 시 연장 가능)
제공 결과물 : • 다큐 영상 1편 (3~5분) • 사진 30장 내외 (대면), 릴스영상 2종 (비대면), 사진 20장 내외 및 릴스영상 1종 (대면+비대면 혼합) • 다큐 영상 상영회 & 네트워킹 데이 개최 • 해외 마케팅 지원
프로젝트 철학 : “아티스트 인사이드는 ‘일상이 곧 예술이며, 모든 사람이 예술가다’라는 신념을 바탕으로 합니다. 우리가 만드는 다큐멘터리는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, 진짜 이야기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작업입니다. 자신만의 철학을 가지고 창의적인 작업을 이어가는 누구나 다큐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. 당신만의 이야기를 진정성 있게 브랜딩하고 싶다면, 지금 아티스트 인사이드와 함께하세요.”

 <아티스트 인사이드 1기~3기> 업데이트

참여자 현황 (25/05/10 기준) • 미술 5명 (페인팅, 조형예술, 일러스트, 고전인쇄) • 종합 예술 2명 • 도예 1명, 음악 1명, 문학 1명, 연극심리상담 1명 • 총 11명 : 한국(대면) 8명, 미국 뉴욕(비대면) 3명
전용 인스타그램을 통해 참가자 소개 및 진행 사항 업데이트 (25/05/10 기준) • 공식계정 : 인스타그램 @art.istINSIDE • 컨텐츠 업로드 일정 : 작가소개 및 작업과정 (상시), 최종 다큐제작본 공유(6월말 예정) • 상영회 : 텀블벅 펀딩을 통한 <글로벌 다큐영상 상영회 및 네트워킹 데이> 개최 * 일정: 2025년 8월 말 예정 (온라인 ZOOM) ** 본 행사는 글로벌 참가자와 함께 진행되며, 한/영 동시통역이 제공될 예정
참가자 네트워킹 (25/05/10 기준) • 오픈채팅 : 참가자 대상 ‘오픈 채팅’ 개설 (상시 네트워킹) • 아티스트 인사이드 살롱(Artist Inside Salon) : 매월 한 차례 Zoom을 통한 정기 모임을 열어, 다양한 문화/예술 분야의 창작자들과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눌 예정 (1회: 2월 23일 , 2회: 3월 23일 (작업철학 및 미래계획 관련) • 기타 : 살롱은 초반에는 아티스트 인사이드 참여자 기반으로 운영되며, 이후에는 다른 아티스트들도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열린 네트워크의 형태로 확장할 계획 (6월 말 예정)
참가자 사이드 프로젝트 (25/05/10 기준) • 박차희 선생님 (연극심리상담) : <방구석 상담가> 유투브 공동 기획 (프롤로그 및 EP 1 촬영) • 양은지 작가 (종합예술) : <지속가능한 한국형 의료 체계를 찾아서> 유투브 공동 기획 (EP 1 촬영) • 위단비 작가 (문학) : <예술과 점술, 술잔과 술잔 사이> 팟캐스트 공동 기획 (프롤로그 및 EP 1 촬영) • 이지원 작가 (미술) : 글을 창작 매체로 확장하기 위한 ‘작가 에세이 프로젝트’ 공동 기획 (25년 하반기 출간 예정 / 뉴욕 거주) • 사이드 프로젝트 진행 기준 : 참가자의 사이드 프로젝트는 다큐 촬영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도출됩니다. 참가자가 향후 나아갈 방향을 함께 탐색하며, 필요시 발견된 프로젝트의 ‘시작 단계’를 공동 작업으로 진행하며 해당 과정은 다큐멘터리의 〈미래편〉에 삽입됩니다.

 <아티스트 인사이드 pre-4기> 과정 안내

신청기간 : 2025년 05월 10일(토) ~ 2025년 06월 30일(월)
운영기간 : 2025년 05월 10일(토) ~ 2025년 07월 31일(목)
모집대상 : 자신의 ‘철학’을 가진 ‘창의적 작업(일)’을 하는 누구나 참여 가능
지역 제한 : 무관* (해외에서도 참여가능)
* 단, ‘서울’을 제외한 ‘지역’ 및 ‘해외’의 경우 "대면+비대면"의 방법 혼합해서 진행 예정
참여 신청 : <하단 신청안내> 참조요망
모집인원 : 3팀(개인/팀)ㅣ대면(1팀), 비대면/비대면혼합(2팀)
* 프로젝트의 방향성과 잘 맞는 참가자를 선정하기 위해, 비대면(ZOOM) 인터뷰를 진행한 후 최종 확정됩니다.
** 다큐멘터리품질 유지를 위해 대면 촬영은 월 1팀으로 제한되며, 나머지 2팀은 비대면 또는 대면+비대면 혼합 방식으로 참여하게 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.

 <아티스트 인사이드> 상세 안내

1. 프로젝트 소개: 예술가의 ‘정체성’을 담다

: '아티스트 인사이드(art.istINSIDE : Every artist has a story, and it’s INSIDE)'의 컨셉으로 파일럿으로 진행됩니다.
예술가의 내면을 조명하고, 그들의 작품 세계를 깊이있게 탐구
예술가가 자신의 철학과 정체성을 표현하면서, 작업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의미를 발견하도록 도움

2. 프로젝트의 비전과 철학

: art.istINSIDE는 예술가의 내면 이야기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예술과 연결되길 바랍니다. 이 프로젝트는 예술가와 관객 간의 새로운 소통 창구를 열고, 예술이 지닌 진정성과 철학을 세계적으로 확산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

3. 참여하면 얻을 수 있는 혜택

: 참여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혜택을 제공합니다
자신의 ‘작업 철학’과 ‘정체성’을 깊이 돌아볼 수 있는 기회
프로젝트 참여 자체가 '치유'와 '탐구'의 과정이 될 수 있음
‘철학’과 ‘본질’을 강조한 '개인 브랜딩' 가능
국내외 아티스트와 ‘네트워킹 기회’ 마련

4. 프로젝트 결과물

: 프로젝트는 개인 맞춤형으로 진행되며, 아래와 같은 결과물을 제공합니다.
1) 공통 제공 사항
 '다큐영상' 1편 (3~5 분)
: 사진 기반의 슬라이드 형식으로 구성 + 특별 영상(개인별 상이) + 나레이션(한국어) + 자막(한국어+영어)
• 3~5분 다큐멘터리 기본 구조 요약
• 연출 스타일 & 키 포인트
-. 빠른 템포 + 감정선 유지 → 3~5분이라 불필요한 장면 없이 핵심만 담기
-. 주인공의 목소리가 중심 → 인터뷰 + 나레이션 활용
-. 다양한 촬영 기법 활용 → 몽타주(빠른 편집), 클로즈업, 타임랩스
-. 음악과 편집→ 감정을 극대화할 수 있는 사운드 디자인
 다큐영상 상영회 및 네트워킹 데이 (온라인)
: 본 기수 참여자는 2026년 01월 예정된 <제2회 글로벌 다큐멘터리 상영회 & 네트워킹 데이>에 공식 참가자로 함께할 수 있습니다.
* 해외참여자를 고려해 온라인으로 진행
 해외마케팅 지원
: 다큐 영상은 <아티스트 인사이드> YouTube와 인스타그램을 통해 해외 아티스트·관객과 소통 예정
2) <대면> 참여 방식
 '다큐사진 작업물' (30장 내외)
: <과거-현재-미래> 로 작업된 다큐 사진 작업물
 서비스 (프로필 촬영 1회)
: 흑백 모노톤으로 진행되며, 개인별 촬영 상황에 따라 진행 여부를 결정 예정
3) <비대면> 참여 방식
 릴스용 영상 2종
: SNS 등에 홍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릴스 영상 2종(15초*2개) 기획 및 제공
* 샘플 릴스 보러가기 : https://bit.ly/43O9fLr
4) <대면+비대면 혼합> 참여 방식
 '다큐사진 작업물' (20장 내외)
: <과거편>에서 작업된 다큐 사진 작업물
 릴스용 영상 1종
: SNS 등에 홍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릴스 영상 1종(15초*1개) 기획 및 제공

 제작 프로세스

: 사전인터뷰 [1회] → 촬영 [4회, 과거(작업철학)-현재(작품)-미래(꿈)] → 다큐영상제작 (최종본 제공, 8주內)
* 최종 촬영 후 8주 이내 ‘결과물’ 제공

1. <대면> 참여 : 비대면 (3회) + 대면 (2회)

1) 사전인터뷰 (프로젝트 기획 회의) ㅣ비대면 (1회)
비대면(ZOOM)으로 약 1~2시간 진행
프로젝트 기획 전반 및 촬영 일정 조율
2) 과거편 (작업철학) ㅣ 비대면 (1회)
참여자의 ‘정체성’ 및 ‘작업 철학’이 형성된 순간을 담는 촬영
가장 마음 편하고 나답게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에서 촬영 (예: 집, 작업실 등)
3) 현재편 (작품) ㅣ대면 (2회)
작업실에서 ‘실시간 작업 과정’ 및 주요 이벤트 촬영 (전시회, 행사 등)
작업 환경과 작업물의 ‘디테일을 강조한 사진 및 영상’
4) 미래편 (꿈) ㅣ비대면 (1회)
<파이널 인터뷰>를 포함해 비대면(Zoom) 인터뷰 진행
필요 시, 참여자가 꿈꾸는 비전을 담기 좋은 공간(자연, 강가 등)에서 비대면 촬영 가능

2. <비대면> 참여 : 비대면 (5회)

1) 사전인터뷰 (프로젝트 기획 회의) ㅣ비대면 (1회)
비대면(ZOOM)으로 약 1~2시간 진행
프로젝트 기획 전반 및 촬영 일정 조율
2) 과거편 (작업철학) ㅣ비대면 (1회)
: 대면과 동일하게 ‘과거-현재-미래’의 구조를 유지하되, 비대면 방식에 맞춰 일부 프로세스를 조정합니다. 기본적으로 비대면(Zoom) 인터뷰를 매회 진행하며, 필요한 비주얼 요소(사진, 영상, 그림 스케치 등)를 참여자에게 과제로 요청합니다. 참여자는 각 세션이 끝난 후 과제를 수행하며, 제작자와 함께 다큐멘터리 요소를 점진적으로 구성해 나갑니다.
참여자의 정체성과 작업 철학이 형성된 순간을 시각적으로 기록 • 정체성: ‘내가 바라보는 나’ vs ‘남이 바라보는 나’를 비교하는 <그림 스케치> • 작업 철학: 자신의 철학(예: 꿈, 자연 등)과 작업의 연결점을 설명하는 <셀프 영상 촬영>
3) 현재편 (작품) ㅣ비대면 (2회)
메인 스토리 라인 촬영 • 창작자의 현재 작업 과정을 담은 <사진 및 셀프 영상 촬영> • 주요 이벤트(전시회, 행사 등)에 참여하는 모습을 기록한 <사진 및 셀프 영상 촬영>
보조 영상(B-roll) 촬영 • 스토리를 더욱 풍부하게 표현할 보조 장면 <셀프 촬영> 디렉팅 • ex. 작업 과정, 손 움직임, 공간 디테일, 작품 클로즈업, 창작자가 사색하는 모습
4) 미래편 (꿈) ㅣ비대면 (1회)
<파이널 인터뷰>를 포함해 비대면(Zoom) 인터뷰 진행
필요 시, 참여자가 꿈꾸는 비전을 담기 좋은 공간(자연, 강가 등)에서 비대면 촬영 가능

3. <대면 + 비대면 혼합> 참여 : 비대면 (4회) + 대면 (1회)

1) 사전인터뷰 (프로젝트 기획 회의) ㅣ비대면 (1회)
비대면(ZOOM)으로 약 1~2시간 진행
프로젝트 기획 전반 및 촬영 일정 조율
2) 과거편 (작업철학) ㅣ비대면 (1회)
: 대면과 동일하게 ‘과거-현재-미래’의 구조를 유지하되, 비대면 방식에 맞춰 일부 프로세스를 조정합니다. 기본적으로 비대면(Zoom) 인터뷰를 매회 진행하며, 필요한 비주얼 요소(사진, 영상, 그림 스케치 등)를 참여자에게 과제로 요청합니다. 참여자는 각 세션이 끝난 후 과제를 수행하며, 제작자와 함께 다큐멘터리 요소를 점진적으로 구성해 나갑니다.
참여자의 정체성과 작업 철학이 형성된 순간을 시각적으로 기록 • 정체성: ‘내가 바라보는 나’ vs ‘남이 바라보는 나’를 비교하는 <그림 스케치> • 작업 철학: 자신의 철학(예: 꿈, 자연 등)과 작업의 연결점을 설명하는 <셀프 영상 촬영>
3) 현재편 (작품) ㅣ대면(현장촬영, 1회) + 비대면 (1회)
메인 스토리 라인 촬영 • 창작자의 현재 작업 과정을 담은 <사진 및 셀프 영상 촬영> • 주요 이벤트(전시회, 행사 등)에 참여하는 모습을 기록한 <사진 및 셀프 영상 촬영>
보조 영상(B-roll) 촬영 • 스토리를 더욱 풍부하게 표현할 보조 장면 <셀프 촬영> 디렉팅 • ex. 작업 과정, 손 움직임, 공간 디테일, 작품 클로즈업, 창작자가 사색하는 모습
4) 미래편 (꿈) ㅣ비대면 (1회)
<파이널 인터뷰>를 포함해 비대면(Zoom) 인터뷰 진행
필요 시, 참여자가 꿈꾸는 비전을 담기 좋은 공간(자연, 강가 등)에서 비대면 촬영 가능

4. 공통사항

1) ‘창작자’ 참여형 컨텐츠 공동 기획
: 창작자의 ‘개성’과 ‘작업 방식’에 따라 미술, 음악, 글 등 다양한 요소를 다큐멘터리 제작 과정에 반영합니다.
미술 : 주요 장면의 스토리를 연필 스케치로 기록하여 시각적 연출에 활용
음악 : 다큐멘터리에 삽입될 BGM을 직접 제작하여 영상과 조화를 이루도록 구성
글 : ‘창작자’가 촬영 기간 동안 매일 작성한 작가일기를 다큐의 스토리 요소로 자연스럽게 반영

 다큐 사진 및 영상 참조 싸이트

: 본 프로젝트의 ‘다큐 사진 및 영상’은 2024년 요양병원에서 진행된 사계절 다큐 사진전을 기반으로 합니다. 자세한 내용은 해당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요양병원 어르신들의 초상권 보호로 인해 제작된 다큐 영상을 온라인에 게시할 수는 없으나, 사전 인터뷰 시 해당 영상을 직접 공유 해드릴 예정)
 사계절 다큐멘터리 <대정의 어느날, 사진전> https://www.ideascope.co.kr/care-hospital_dn

 신청안내

   pre-4기 운영기간 : 2025년 05월 10일(토) ~ 2025년 07월 31일(목)
* 최종 5회차 촬영은 7/31(목)까지 완료 되어야 함 (결과물 납품: 촬영 종료 후 8주 이내)
   신청기간 : 2025년 05월 10일(토) ~ 2025년 06월 30일(월)
   모집대상 : 자신의 ‘철학’을 가진 ‘창의적 작업(일)’을 하는 누구나 참여 가능
   모집인원 : 3팀(개인/팀)ㅣ대면(1팀), 비대면/비대면혼합(2팀)
* 프로젝트의 방향성과 잘 맞는 참가자를 선정하기 위해, 비대면(ZOOM) 인터뷰를 진행한 후 최종 확정됩니다.
** 다큐멘터리품질 유지를 위해 대면 촬영은 월 1팀으로 제한되며, 나머지 2팀은 비대면 또는 대면+비대면 혼합 방식으로 참여하게 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.
   모집 프로세스 : 신청서 접수 → 참가자 개별 비대면(ZOOM) 인터뷰 (약 30분) → 최종 합격자 안내 및 참가비 입금 → 입금 완료 후 참가 확정
* 조기 마감 시, <아티스트 인사이드 4기>로 자동 이월 신청이 가능하며, pre-4기와 동일한 가격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. (4기 모집 오픈 예정일: 7월 1일 화요일)
   참가비용 : 본 프로젝트는 2025년 상반기까지 파일럿 기간으로 운영되며, 기수별로 참가비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. (자세한 금액은 해당 기수의 모집 공고를 통해 안내드립니다.)
촬영 방식별 서비스 구성 • 기본 제공 : 총 5회 (대면/비대면 선택 및 혼합 가능) • 서울 외 지역 : 지역에 따라 촬영 방식 조율 가능 (사전 협의 필수) * 비대면 촬영을 대면 촬영으로 변경할 경우, 서울 외 지역은 출장비 추가 발생 (실비 청구 예정) • 결제 안내 : 현금영수증 발행 가능 (카드 결제 불가)
  입금계좌 : 카카오뱅크(강주미) 3333-31-5184803
  문의: 인스타그램 DM @art.istINSIDE , ideascope.official@gmail.com
→ 신청서 제출 후, 인스타그램 DM으로 신청자의 성함을 남겨주세요. 신청이 확인되면 개별 비대면(ZOOM) 인터뷰 일정 조정을 위해 연락드리겠습니다.

 신청 전 주의 사항

 환불 규정
• 파일럿 프로젝트 특성상, 신청서 접수 및 입금 후에는 환불이 불가합니다.
• 신청 전에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인스타그램 DM 으로 문의 부탁드립니다.
 운영규정 
• 해당 프로젝트는 최소 주 1회 촬영 진행을 권장합니다.
• 일정은 개인별로 선착순 협의되며, 최종 5회차 촬영은 7월 말까지 완료되어야 합니다.
• 결과물은 최종 촬영 후 8주 이내에 전달됩니다.
• 프로젝트 종료 후에는 ‘영상 상영회 및 네트워킹 데이’가 진행될 예정입니다.
• 원활한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기간 내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. 감사합니다.
이번 프로젝트는 예술가의 철학을 깊이 들여다보고, 이를 통해 정체성을 더욱 공고히 하며 작품에 반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파일럿 형태로 진행됩니다. 파일럿 프로젝트인 만큼, 참여자들과 함께 공동의 목표를 위해 유연하게 프로세스를 조율하며 진행할 예정입니다.
이 과정을 통해 많은 분들이 자신을 깊이 돌아보고, 앞으로 나아갈 힘을 얻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.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.
.
.